콘텐츠로 건너뛰기

KiB? KB? IEC 표준과 SI 표준

우리는 통상 210 bytes = 1,024 bytes = 1 KB, 220 bytes = 1,048,576 bytes = 1 MB, 230 bytes = 1,073,741,824 bytes = 1 GB라고 알고 사용해 왔다1. 하지만 하드디스크 등 저장장치 제조사에서는 1,000 bytes = 1 KB로 계산하여 저장장치를 제작하기 때문에, 저장장치 표기 용량과 OS(운영 체제)에서 계산한 용량과 달라 혼란이 발생했다. 이후 컴퓨터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점점 커지면서 이 두 가지 계산 방식에 따른 용량 차이도 한층 커졌다. 이러한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이진 접두어를 사용하는 IEC 표준 단위계를 개발하였다.

IEC 표준

1999년에 IEC 60027-2로 정의된, 2진수 기반이진 접두어를 사용하는 IEC 표준 단위는 키비바이트(kilo binary byte, kibibyte, KiB), 메비바이트(mega binary byte, mebibyte, MiB), 기비바이트(giga binary byte, gibibyte, GiB), 테비바이트(tera binary byte, tebibyte, TiB) 등으로, 각각의 단위는 앞 단위의 1,024(210)배의 크기를 가진다. 각 단위의 용량은 아래와 같다.

  • 1 KiB = 1,024 bytes
  • 1 MiB = 1,024 KiB = 1,048,576 bytes
  • 1 GiB = 1,024 MiB = 1,048,576 KiB = 1,073,741,824 bytes
  • 1 TiB = 1,024 GiB = 1,048,576 MiB = 1,073,741,824 KiB = 1,099,511,627,776 bytes

우분투의 ‘시스템 감시’를 보면 KiB, MiB, GiB, TiB 등의 표기를 볼 수 있다2.

SI 표준

10진수 기반SI 접두어를 사용하는 SI 표준 단위는 킬로바이트(kilobyte, kB), 메가바이트(megabyte, MB), 기가바이트(gigabyte, GB), 테라바이트(terabyte, TB) 등으로, 각각의 단위는 앞 단위의 1,000(103)배의 크기를 가진다. 각 단위의 용량은 아래와 같다.

  • 1 kB = 1,000 bytes
  • 1 MB = 1,000 kB = 1,000,000 bytes
  • 1 GB = 1,000 MB = 1,000,000 kB = 1,000,000,000 bytes
  • 1 TB = 1,000 GB = 1,000,000 MB = 1,000,000,000 kB = 1,000,000,000,000 bytes
  1. 위키백과에서는 이 방법을 ‘전통적 용법’이라고 분류하였다. ↩︎
  2. 예전 우분투에서는 노틸러스 등에서도 IEC 표준 단위계를 사용하였지만, 우분투 10.10부터는 SI 표준 단위계를 사용한다.
    관련 글: Neowin.net – Ubuntu implements units policy, will switch to base-10 units in future release ↩︎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